기업정보
드림라인㈜
1998년 3월 1일에 설립된 유선통신업 업종의 유선전화(전화회선) 임대/부동산 임대 사업을 하는 대기업이며, 자본금은 566억 2,921만원 매출액은 1,469억 3,606만원입니다.
-
업종
유선통신업
-
매출액
1,469억
3,606만원 -
기업형태
대기업
-
설립일
1998년
(업력 18년) -
사업내용
유선전화(전화회선) 임대/부동..
기본정보
기업명 | 드림라인㈜ | 대표자명 | 김형석 |
---|---|---|---|
소속그룹 | 한국투자금융 | ||
업종 | 유선통신업 | ||
사업내용 | 유선전화(전화회선) 임대/부동산 임대 | ||
기업형태 | 대기업, 외부감사법인, 법인사업체 | ||
설립일 |
1998년 3월 1일 (업력 18년)
![]() 기업 나이(업력)등급기준 닫기기업의 업력은 기업의 안정도를 가늠하는 척도가 됩니다.
|
채용현황 | 채용 진행중 1건 |
매출액 | 1,469억 3,606만원 (2015년 기준)
![]() 매출액 등급기준 닫기기업의 매출액은 기업의 영업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됩니다.
|
||
자본금 | 566억 2,921만원 (2015년 기준) | 당기순이익 | 84억 8,271만원 (2015년 기준) |
대표전화 | 02-6007-6034 | FAX | 02-6007-6299 |
홈페이지 | http://www.dreamline.co.kr | ||
기업주소 | 서울 송파구 가락본동 78 아이티벤처타워 동관 9층 |
재무정보
-
자본금
566억 2,921만원
-
매출액
1,469억 3,606만원
-
당기순이익
84억 8,271만원
3년 연속 성장기업(2014년 기준),
2년 연속 흑자기업(2015년 기준)
매출액
(단위 : 백만원)당기순이익(손익)
(단위 : 백만원)기준년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손익) |
---|---|---|---|
2015년 | 566억 2,921만원 | 1,469억 3,606만원 | 84억 8,271만원 |
2014년 | 417억 8,021만원 | 1,508억 3,821만원 | 121억 3,646만원 |
2013년 | 857억 3,990만원 | 1,459억 3,064만원 | -0조 1,200억 7,874만원 |
2012년 | 857억 3,990만원 | 1,430억 5,158만원 | - 415억 8,978만원 |
정보제공 : 나이스신용평가정보 (2016년 08월 08일 기준)
기업개요 및 비전
주요 사업내용 : 초고속통신망 및 인터넷 전용회선 임대, 유무선포탈사업
주요 취급품목 : 전용통신회선임대, 초고속인터넷임대, 무선플랫폼
연혁 및 실적
- 2014.12 이큐파트너스 제2호의1 기업재무안정 유한회사 최대주주로 변경
- 2013.12 부가서비스 사업권 획득
- 2012.04 국제전화 서비스 (00380) 개시
- 2012.02 대표이사 변경 : 김진하
- 2011.01 본사 이전 :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78 IT벤처타워 동관 15층
- 2010.09 이동통신 재판매 사업개시(KT)
- 2009.07 본사 이전 :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78 IT벤처타워 동관 6층
- 2009.02 IDC 사업개시(서울 가산동)
- 2008.11 본사 이전 : 서울시 송파구 가락동 78 IT벤처타워 동관 9층
- 2008.10 공용화기지국 서비스 개시
- 2007.02 대표이사 변경 : 박의숙
- 2007.01 유무선 포털 서비스 개시(UPLAY)
- 2005.07 케이블BcN 인터넷전화 시범서비스 개시
- 2005.06 인터넷전화서비스 사업허가 취득
- 2003.12 (주)세아홀딩스의 CB전환청구에 의한 증자
- 2003.11 세아그룹 계열사 편입 / 매출 1,000억원 달성
- 2003.08 코스닥시장 등록 취소
- 2003.01 본사 이전 : 서울 송파구 신천동 7-17
- 2002.01 대규모기업집단 하나로통신으로 편입
- 2001.02 드림엑스 사업본부 분사(하나로드림 주식회사)
- 2000.11 본사 이전 : 서울 서초구 서초동 1603-54
- 1999.08 초고속인터넷서비스 개시
- 1999.07 제일제당 계열사 편입, 인터넷온라인서비스 개시
- 1999.03 인천, 원주센터 설치
- 1999.02 초고속 인터넷 시험서비스 개시
- 1998.08 정보대국 시범사업자(정보통신부) 선정
- 1998.07 제일제당 계열사 편입
- 1998.03 대구센터 설치
- 1998.02 대전센터 설치
- 1998.02 상호 변경 : 드림라인(주)
- 1998.01 도로공사와 전기통신회선설비 제공에 관한 협약
- 1997.12 부산,광주센터 설치
- 1997.11 영업개시
- 1997.10 서울센터(통신) 설치
- 1997.07 법인설립(자본금 600억원, 158개 주주사)
- 1997.06 제일고속통신(주) 설립
- 1997.06 기간통신사업자(전기통신회선설비 임대역무) 허가대상법인 선정
전망
· 전국의 주요도시를 가장 짧은 거리로 연결하는 고속도로와 지하철망을 따라 구축된 격자망 및 이중Ring망의 광통신망을 이용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백본망의 경우 전국 대도시를 관통하게 되며 고속도로 갓길 지하 1.5m 에 매설되어 있어 장애의 위험이 매우 적어 신뢰성이 높음
[인터넷전화(VOIP)]
· 자가 구축 광통신망 기반으로 고품질의 DATA와 음성 결합상품 제공이 가능하고, 다년간 인터넷전화 분야의 유경력자 보유로 안정적인 운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검증된 백본 시스템 구성으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국제전화]
· 당사는 당사가 제공하는 국제전화 서비스의 차별화를 위하여, 통화 완료 후 사용내역과 더불어 월 누적청구금액 등의 추가정보를 제공하는 문자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주 고객타깃을 범용이 아닌 외국인 위주의 타깃 정책으로 집중하여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음
[공용화 기지국]
· 당사는 저렴한 철탑사용료등 한국전파기지국㈜에 비하여 원가경쟁력이 있으며, 당사의 기지국 회선(중계기) 및 부대설비 구축 기술력을 활용하여 기지국(중계망) 공용화를 위한 기지국(중계망) 시설 뿐만 아니라 회선까지 구축하여 서비스가 가능함
연봉정보
평균급여
(단위 : 만원)기준년도 | 평균급여 | 비고 | ||
---|---|---|---|---|
전체 | 남 | 여 | ||
2014년 | 3,800만원 | 4,031만원 | 2,417만원증가 |
|
2013년 | 3,800만원증가 | 4,044만원증가 | 2,319만원증가 |
|
2012년 | 3,600만원증가 | 3,900만원증가 | 2,100만원증가 |
|
직원수/근속년수
기준년도 | 직원수 | 근속년수 | ||
---|---|---|---|---|
전체 | 남 | 여 | ||
2015년 | 120명증가 | 100명증가 | 20명증가 | - |
2014년 | 115명증가 | 97명증가 | 18명증가 | 7년 |
2013년 | 110명 | 94명 | 16명 | 6.73년 |
2012년 | 120명증가 | 99명증가 | 21명증가 | 5.35년 |
- ㆍ본 자료는 사람인 회원, 인사담당자,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제공한 정보를 토대로 분석한 것으로 실제 연봉과 다를 수 있습니다.
- ㆍ본 자료는 정기 상여금만 포함 되었으며, 특별상여금, 성과급 등은 제외하였습니다.
- ㆍ본 자료의 저작권은 (주)사람인HR에 있습니다. 따라서 본 정보는 (주)사람인HR의 동의 없이 재배포 할 수 없습니다.
- ㆍ(주)사람인HR은 정확한 정보 제공에 대한 의무를 성실히 이행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신뢰하여 취한 조치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취업자료
합격 자소서
기업명 | 지원분야 | 제목/항목 |
---|---|---|
드림라인㈜ | 기술영업 |
드림라인 2016년 상반기 드림라인 신입사원 공개채용 [성장과정] [장점/단점] [지원동기] [입사 후 포부] |
일반영업 |
드림라인 2015년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 [성장과정] [장점/단점] [지원동기] [기타] |
업계동향
출처 : 드림라인 2014 사업보고서
· 전용회선 시장은 1990년대 이후 이동통신 산업의 발전과 기업들의 IT 시스템 도입 추세, 금융거래의 온라인화 등으로 크게 성장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성장 정체의 상황
· 전용회선사업은 일반 경기변동의 영향을 받기는 하나, 정보화 사회가 급속히 진전됨에 따라 정부의 초고속통신망 등에 대한 투자, 일반기업과 가정에서의 정보화 투자가타부문에 비해 활성화, 지속화될 것으로 전망되어, 향후에는 오히려 경기변동을 주도하는 특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
[인터넷전화(VOIP)]
· 국내 인터넷전화시장은 정부의 인터넷전화 활성화 정책도입 및 사업자의 경영전략 변화로 성장추세가 확산되고 있으며, 해당 시장의 가입기반 및 시장 규모도 급증하고 있는 상황
· 국내 인터넷전화는 2011년 8월을 기점으로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하는 등 유선전화 시장에서 인터넷전화가 차지하는 비율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음
· 이런 추세가 계속된다면, 2015년 전후에는 인터넷전화가 기존 PSTN 시장을 추월할 것으로 예상
· 서비스제공사업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기반서비스라는 특성과 방통위의 번호이동 절차 간소화 등의 제도적 지원을 바탕으로 법인 및 단체시장, 공공기관의 지속적인 인터넷전화도입을 통하여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통신 분야
[국제전화]
· 5자리 식별번호를 통한 국제전화 서비스는 내국인 뿐 아니라 주로 국제전화를 빈번이 사용하는 외국인 체류자의 증가(179만명, 전년대비 14%증가, 기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4.12 통계월보)에 따라 완만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음
[공용화 기지국]
· 통신사업자의 무분별한 기지국 건설로 인한 중복투자 방지 및 지자체 민원등에 따라 기지국 통합작업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수 밖에 없는 환경이며 매년 구축수요가 증가추세에 있음
· 기지국(중계망)은 2G(PCS, Cellular), 3G(WCDMA), 위성DMB, 지상파DMB, WiBro(휴대인터넷), TRS(주파수공용통신), 지상파LBS(위치기반 서비스)와 4G(4세대 복합통신) 서비스에도 필수 설비